Logo Logo

"거짓말"하는 우리아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3,603회 작성일 22-04-01 18:22

본문

12a14b2a4284430e2e5c1f3389d9a2e7_1648804671_2126.jpg
 

왜 자꾸 거짓말을 할까요?


자꾸 거짓말이 나오는 아이


어떻게 하죠?


너무 자연스러워서 저도 깜짝 놀랄 때가 많습니다.




우리 아이가 자연스럽게 거짓말을 하다니 ..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 아이로


자라는 건 아닐지 걱정되시지 않으신가요?



거짓말이란?


말하는 사람이 "거짓임을 알고 있는 상태"로 듣는 사람이 사실을 믿게 하기 위해 실제와는 다른 말을 하거나 일부만 사실을 말하는 것, 


사실 전부를 말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어른들의 생각 속 거짓말은


"거짓말" = "남을 속이는 나쁜 것"


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우리 유아들도 악의적으로 속이기 위한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일까요?



거짓말의 원인


만2~3세(4~5세)의 아이들은 만 2세 무렵 말문이 트이게 됨과 동시에 사실과는 다른 "거짓말"을 하게 됩니다.


상상에 있어 전조작기적 사고를 가지게 되면서


과잉이나 과장을 통해 상상을 현실에서 실제 발생한 사실로 전달하게 됩니다.


12a14b2a4284430e2e5c1f3389d9a2e7_1648804700_3219.jpg



어른들이 듣기에 너무 허무맹랑한 소리들을 하는 아이들


따라서


아이들의 거짓말은 남을 속이려는 부정적 의도만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성인의 거짓말과 동일하게 접근하여 훈육하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아이들은 어떤 이유로 거짓말을 하게 될까요?


아이들의 거짓말에 대한 원인은 크게 아래 7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상상적인 거짓말로 공상과 현실을 구별하지 못하는 거짓말


ex> "나는 어제 산타할아버지를 만나서 선물을 받고, 놀다왔어!



2. 언어 부족에서 오는 거짓말로 적절한 표현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발생



3. 주목을 끌기 위한 거짓말로 애정이나 주목이 결핍된 아이들에게서 발생


ex> "우리집에는 장난감이 어어엄청 많이 백개 천개 있다?"



4. 자기 방어의 거짓말로 잘못을 하였을 때 보호자, 교사가 옳고 그름에 대한 책임을 물을 때 변명으로 정당화


ex>"내가 안 그랬고, 어.. 저기 지나가던 강아지가 그랬는데요.."



5. 소원 충족의 거짓말로 강력한 요구를 가지고 있을 때 그 것을 이룬 것으로 말하는 거짓말



6. 어른과 같은 이기적 동기에 의한 거짓말



7. 선의의 거짓말로 타인에 대한 친절과 배려를 토대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거짓말


ex> 마음에 안드는 선물을 받고 선물을 준 사람이 마음에 드는 지 물어보았을 때 "네.. 마음에 들어요!"

거짓말의 해결방법


이러한 아이들의 거짓말에 화를 내거나 벌을 주는 것은 역효과를 불러 일으킬 수 있습니다.



우선 아이의 거짓말을 하는 "원인"에 대한 파악 후 거짓말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며,


아이들이 적절한 말과 행동, 사실을 이야기하였을 때 아이가 진실을 말한 부분에 대한 칭찬과 격려가 필요합니다.



* 특히 아이의 거짓말 중 자기방어적 거짓말의 경우 


교육적이고 권위적인 양육태도를 가지진 않았는지, 옳고 그름과 책임을 강조하면서 아이와 함께 생활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다양한 인성 동화를 통해 "거짓말"보다 "정직"에 대한 중요성을 아이들이 알아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12a14b2a4284430e2e5c1f3389d9a2e7_1648804862_2497.jpg 


내 아이가 건강한 인격을 가진 한 사람으로 자라나도록


노력하시는 부모님들 옆에 "아이모스트"가 함께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