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행동주의 이론 - 스키너 조작적(도구적 / 작동적) 조건형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3,835회 작성일 22-09-08 12:16

본문


8015091ad66ad60e08e043d99e3a6752_1662606518_4387.jpg
 

「벌허스 프레더릭 스키너


Burrhus Frederic Skinner


(1904~1990)」



- 버러스 프레드릭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1904~1990)는 미국의 심리학자로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의 창시자이다.


- 특히, 스키너 상자/박스 실험을 진행한 것으로 유명하다.


- 가장 영향력 있는 행동주의 심리학자이다.


- 미국심리학회가 최초로 수여한 평생공로상을 수여받았다.







고전적 조건형성 VS 조작적 조건형성




고전적 조건 형성은


유기체가 수동적으로 반응(수동적 조건 반사)을 보이는데에 반해



조작적 조건 형성은


유기체가 어떤 결과를 얻기 위해 능동적으로 움직인다는데에 초점을 둔다.





[Ⅰ] 스키너 상자/박스 실험 (Skinner box experiment)



8015091ad66ad60e08e043d99e3a6752_1662606548_4767.png
 


출처: https://education-is-power.net/operant-conditioning/



<실험 진행 방법>


레버를 누르면 소량의 먹이가 나오는 스키너 박스에 쥐를 넣는다.


쥐는 상자 속에서 움직이다가 우연히 레버를 누르게 되고 먹이를 획득하게 된다.


먹이를 획득한 이후 쥐를 레버를 누르는 행위를 더 많이 하게 된다.



* 이 실험을 통해 동물의 행동은 강화물을 이용하여 강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강화(Reinforcement)와 처벌(Punishment)/


정적(Positive)와 부적(Negative)


출처 입력


* 강화물 : 유기체에게 자극을 주는 모든 요소, 자극물


ex. 용돈, 선물, 칭찬, 인정, 잔소리, 매, 벌, 전기충격, 숙제, 청소 ..



강화 : ~를 더 하게 하는 것 (행동 증가)


처벌 : ~를 하지 않게 하는 것 (행동 감소)


정적 : ~를 제공하여


부적 : ~를 제거하여



1. 정적 강화 : 행동 후 강화물을 제공하여 행동을 더 하게 하는 것


- 공부를 열심히 했을 때 용돈을 주어 (강화물 제공) 공부를 더 하게 하는 것 (행동 증가)


- 공부를 열심히 안 했을 때 벌을 주어 (강화물 제공) 공부를 더 하게 하는 것 (행동 증가)



2. 정적 처벌 : 행동 후 강화물을 제공하여 행동을 더 하지 않게 하는 것


- 게임을 할 때 벌을 주어 (강화물 제공) 게임을 하지 않게 하는 것 (행동 감소)


- 게임하는 시간을 줄였을 때 용돈을 주어 (강화물 제공) 게임을 하지 않게 하는 것 (행동 감소)



3. 부적 강화 : 행동 후 강화물을 제거하여 행동을 더 하게 하는 것


- 공부를 열심히 했을 때 숙제를 면제하여 (강화물 제거) 공부를 더 하게 하는 것 (행동 증가)


- 공부를 열심히 안 했을 때 용돈을 줄여 (강화물 제거) 공부를 더 하게 하는 것 (행동 증가)



4. 부적 처벌 : 행동 후 강화물을 제거하여 행동을 더 하지 않게 하는 것


- 게임을 할 때 용돈을 줄여 (강화물 제거) 게임을 하지 않게 하는 것 (행동 감소)


- 게임하는 시간을 줄였을 때 청소를 면제해주어 (강화물 제거) 게임을 하지 않게 하는 것 (행동 감소)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s)


강화계획은 시간이나 반응수에 따라 정리될 수 있다.

 

* 비율 계획 : 빈도수에 따른 강화


* 간격 계획 : 시간간격에 따른 강화



고정 : 일정한


간격 : 시간


비율 : 수



1. 계속적(연속) 강화 계획(Continuous Rinforcement Schedule) :


- 모든 반응에 대해 강화를 부여한다.


- 빠른 학습이 이루어져 학습의 초기단계에는 효과적이지만 그만큼 소거도 빠르게 일어난다.



2. 간헐적 (부분) 강화 계획(Intermittent Reinforcement Schedule) :


- 일정한 규칙을 두고 강화를 부여한다.


- 계속적 강화와 비해 비교적 느린 학습이 이루어지지만 소거에 대한 저항도 강해져 소거도 학습만큼 느리게 일어난다.



2-1 고정 간격 계획(Fixed Interval Schedule) (FI)


유기체의 행동 빈도와는 상관 없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강화를 제공하는 방식


ex. 월급, 정기시험,10분 문제 풀면 선물 하나



2-2 고정 비율 계획(Fixed Ratio Schedule) (FR)


유기체의 일정한 수의 반응마다 강화를 제공하는 방식


ex. 문제 한 장 풀면 휴식 5분



2-3 변동(가변) 간격 계획(Various Interval Schedule) (VI)


일정한 시간 간격 없이 변동적인 시간 간격을 두고 강화를 제공하는 방식


ex. 1시간 동안 5번의 경품



2-4 변동 비율 계획(Variable Ratio Schedule) (VR)


변동적인 수의 행동마다 강화를 제공하는 방식


ex. 도박, 로또 등



* 행동이 나올 때마다 강화물이 주어지는 것보다,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강화물이 주어지는 변동비율강화계획이 가장 반응률이 높다.





https://imost.co.kr/main/main.php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