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심리학]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사회인지이론) - 보보인형실험/ 모델링/ 관찰학습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4,205회 작성일 22-08-23 09:05본문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앨버트 반두라 Albert Bandura (1925~2021)」
- 반두라는 캐나다출생의 심리학자로 사회인지학습이론의 창시자이다.
- 특히, 보보인형 실험을 진행한 것으로 유명하다.
- 스탠퍼드 대학교 심리학부 명예 교수이다.
- 행동주의로 치우치던 심리학계의 큰 전환점을 제공했다.
보보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
https://www.youtube.com/watch?v=dmBqwWlJg8U
보보인형 실험은 1691년, 앨버트 반두라가 모델링에 관해 진행한 실험이다
<실험 진행 방법>
1. 두 개의 방(A,B) 안에 보보인형을 각각 놓아둔다.
2. 어린 아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한 그룹은 A 방을 볼 수 있도록, 다른 한 그룹은 B 방을 볼 수 있도록 준비한다.
3. A 방으로 들어간 성인은 방 안에 있는 보보인형을 발로 마구 차고 때리는 등 폭력적인 행동을 한다.
4. B 방으로 들어간 성인은 방 안에 있는 보보인형을 쓰다듬고 안아주고 예뻐해준다.
5. 아이들이 방 안에 들어간 성인의 행동을 모두 관찰한 뒤 한 명씩 똑같은 방으로 들어가게 하고 아이들의 행동을 확인한다.
※ 결과 ※
A방(폭력적인 모습)을 관찰한 아이들은 모델의 행동을 관찰하기만 해도 보보인형에게 폭력적인 모습을 보이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B방(친절한 모습)을 관찰한 아이들은 보보인형에게 친절한 모습을 보이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강화와 처벌을 통해 행동을 학습하게 된다고 주장했던 행동주의가 만연했던 시대에 반두라의 보보인형실험은 인간은 동물과 달리
강화와 처벌이 없이 다른 사람(모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으로도 학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모델링 & 관찰학습
모델링 :
-> 외부의 강화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모델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이다.
직접적 모델링 : 단순히 모델의 행동을 모방하는 것
상징적 모델링 : 책, 연극, 영화 속 등장인물들이 보이는 행동을 모방하는 것
합성된 모델링 : 관찰한 행동들을 서로 합쳐서 새로운 행동을 나타내는 것
모델링의 효과 :
->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 사람에게 주어지는 결과를 확인한 뒤 자신이 같은 행동을 했을 때의 결과를 예상하는 대리학습이 가능하다.
반응(행동) 촉진 : 모델이 어떠한 행동을 하고 그것에 대한 강화(ex. 칭찬, 상)를 받는 것을 관찰한 뒤 그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것
행동 억제 : 모델이 어떠한 행동을 하고 그것에 대한 처벌(ex. 훈계, 벌)을 받는 것을 관찰한 뒤 그 행동을 더 줄이게 되는 것
행동 탈억제 : 모델이 위협적이거나 금지된 행동을 해도 처벌받지 않는 것을 관찰한 뒤 그 행동을 하게 되는 것
모방 가능성이 높은 모델 :
관찰자가 모델을 유사하게 생각할 수록 모방 가능성은 높아진다.
집단과 사회에서 지위가 높거나 유능하고 힘이 있는 사람일 수록 모방 가능성은 높아진다.
관찰학습 :
-> 모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여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 것이다.
관찰학습 예시)
* 폭력적인 미디어 매체에 노출된 아이들은 미디어의 영향을 받아 폭력적인 행동을 학습하게 된다.
* 아이에게 어떠한 것을 학습시키고자할 때 모방 가능성이 높은 모델을 관찰하고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관찰학습의 구성요소 네 가지 (학습의 과정)
관찰학습에는 주의집중과 파지(기억), 운동재생, 강화와 동기화 과정이 있다. 이 네 가지의 과정을 통해 관찰자는 새로운 행동을 성공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주의집중과정(Attentional Process) :
행동을 모델링 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행동에 주의를 집중해야한다. 제대로 주의를 집중하지 않으면 모델의 행동을 제대로 학습할 수 없다.
파지과정(Retention process) :
주의집중을 해서 모델의 행동을 관찰했다면 관찰한 행동을 기억해야한다.
운동재생과정(Motor Reproduction Process) :
관찰하고 기억한 행동을 재생하고 반복하기 위해서는 운동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적절한 운동기능을 갖추어 모델의 행동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연습의 과정이 필요하다.
강화와 동기화과정(Motivation) :
모델링되는 행동의 강화를 기대하고 그 행동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동기화 시킨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