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아빠가 육아에 꼭 참여해야할까요?/ 아빠의 육아 중요성/ 아빠의 목소리/ 유대인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6,733회 작성일 22-10-25 09:38

본문

안녕하세요~ 아이모스트입니다 :)


오늘은 아빠의 육아 참여도의 중요성에 대해서 잠깐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928166579350f32d5800a6bf3a14b450_1666658210_2247.jpg
 


아빠가 사회에서 돈을 벌고, 엄마가 집안일과 육아를 전담했던 이전 사회와는 달리 현대에는 여성도 일을 하게 되면서 엄마, 아빠의 역할 구분이 많이 사라지고 집안일과 여러 가지 역할들을 분담해서 함께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그에따라 아버님들도 아이들의 육아에 많이 참여하고 교육에도 열정적인 모습을 보게 됩니다. 생각해보면 엄마만 육아를 하는 것보단 훨씬 아이들에게 다양한 자극을 줄 수 있어 좋을 것 같긴 한데 아빠의 육아가 정확히 어떤 부분에서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인지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https://blog.naver.com/imost_official/222727025203


 

육아에서 아빠가 중요한 이유/ 아이 사회성/ 아이 자존감

안녕하세요 아이모스트입니다 :) 여러분 혹시 "아이가 처음 태어났을때 엄마와 자신을 구분하지 못한...


blog.naver.com


아빠가 육아에 참여하면 과연 효과가 있을지, 엄마가 전담해서 육아를 했던 것보다 아이들의 발달에 얼마나 더 큰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해답은 이전에 포스팅했던 위의 내용을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아빠가 육아에 꼭 참여해야하는 것인지, 육아에 참여해야 한다면 어떻게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928166579350f32d5800a6bf3a14b450_1666658234_4138.jpg
 

 


아이에게 아빠는 태어나서 처음 만나는 타인인 만큼 아이가 세상에 대해 전반적으로 인식하는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고 했었는데요. 아이는 아빠와의 관계를 통해 사회성을 익히게 되고, 아빠가 엄마를 잘 대해주는 모습을 보며 엄마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아이는 높은 자존감을 획득하게 됩니다.



이렇게 아빠는 아이에게 있어 정말 중요하고 큰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에 할 수만 있다면 아빠도 육아에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부분들 외에도 아빠만이 아이에게 줄 수 있는 아주 중요한 부분이 있는데요.


목소리


그건 바로 아빠의 ​중저음 목소리입니다. 


아빠는 엄마보다 훨씬 낮게 울리는 중저음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는데 아빠의 베이스톤 목소리는 우뇌의 8만배의 힘과 능력을 가진 간뇌를 움직이는 힘이 있습니다. 그 힘은 엄마 목소리의 10배 이상의 파워입니다. 


간단하게 생각하자면 엄마는 30분 동안 아이를 놀아주며 들려주어야 하는 목소리를 아빠는 3분만 놀아주며 들려줘도 아이에게 필요한 자극을 채워준다는 뜻이 됩니다. 

928166579350f32d5800a6bf3a14b450_1666658289_3514.png
928166579350f32d5800a6bf3a14b450_1666658309_7828.jpg
 






 



특히, 아빠의 이러한 능력을 가장 잘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건 바로 세계적으로 지혜롭기로 유명한 유대인들입니다. 페이스북을 설립한 마크 주커버그, 유명한 영화 감독이자 제작자인 스티븐 스필버그, 구글 설립자와 마이크로스프트 최고경영자 등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들 중 대다수의 사람들이 유대인들이죠. 유대인들은 아빠가 아이들을 주도적으로 교육하는데, 밥상에서 아빠와 어떠한 것에 대해 질문하고 답변하는 시간을 가지는 하브루타 시간이 대표적인 예이죠. 그리고 또한 유대인들은 아빠의 중저음 목소리로 탈무드를 읽어주는 시간을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꼭 가지기 때문에 아이들이 더 지혜롭게 자랄 수 있습니다.



이렇듯 육아는 아빠의 육아, 엄마의 육아 할 것 없이 모두 중요합니다. 그래서 아이들의 육아는 한 사람이 몰아서 하는 것 보다, 엄마만이 줄 수 있는 좋은점과 아빠만이 줄 수 있는 좋은점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적절한 배분을 해주는 것이 필요한데요. 엄마는 아이와 매일 30분 이상 놀아주어야 한다면, 아빠는 3분 이상 아이를 놀아주는 것이 아이에게 충분한 자극을 주기 위해 필요하다고 해요.



<오늘의 육아 Tip>


아빠는 매일 최소한 3분 이상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거나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가져주세요. 아이들의 두뇌발달과 사회성 발달에는 아빠의 목소리로 자극을 주는 것만큼 효과적인 방법이 없답니다!


그럼 이때, 의문과 불만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무리 아빠의 중저음 목소리로 아이들에게 10배 이상의 자극을 줄 수 있다고 하지만 엄마는 아이를 매일 30분이나 놀아주어야 하는데 반해 아빠는 3분만 놀아주면 되는 것은 조금 불공평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사실 이때는 아빠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아빠는 아이를 3분만 놀아주고나면 자신의 본분을 다 했기 때문에 나머지 남는 27분의 시간동안 그저 쉬면 되는 것일까요?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글의 요지는 아빠는 아이를 3분동안 놀아주기만 하면 된다.라는 말을 하고 싶은 것이 아닙니다. 엄마가 30분의 시간을 아이에게 사랑을 쏟는데 사용한다면, 아빠는 30분의 시간 중 3분의 시간동안 아이를 놀아주고, 남은 27분의 시간동안에는 아내를 위해 사랑을 쏟고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사실 아이는 엄마가 행복하면 저절로 행복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엄마가 행복하면 아이는 행복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간단하지만 확실한 방법을 익히고 생활속에 적용하게 된다면 더욱 행복하고 화목한 가정이 되는 것은 시간 문제일 것입니다.  




"이 세상에 태어나 


우리가 경험하는 가장 멋진 일은 


가족의 사랑을 배우는 것이다."


조지 맥도날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